본문 바로가기

제주의자연/제주의오름

안덕면의 멋진 오름들 대병악, 소병악 그리고 무악오름

반응형

안덕면의 멋진 오름들 대병악, 소병악 그리고 무악 오름


오늘도 지난번에 이어서 오름을 소개합니다. 오늘은 오름 세 개를 한꺼번에 소개하는데요, 이 세 오름을 따로 포스팅 하기엔 오름들 위치가 너무 사이좋게 붙어 있어서 따로 소개가 힘들었어요^^ 안덕면의 멋진 세 오름들을 소개합니다.

 

 

대병악과 소병악 등반 입구(좌측이 대병악, 우측이 소병악 입니다)
대병악과 소병악 등반 입구(좌측이 대병악, 우측이 소병악 입니다)

 

 

1. 대병악, 소병악

먼저 대병악과 소병악은 여러 블로그에서 잘 안내를 하고는 있지만, 헷갈리지 않고 한 번에 바로 가시려면 내비에 구애받지 말고 안덕면공설묘지를 검색해서 가시면 위 사진의 입구를 만나실 수 있습니다. 아마 이곳도 다른 오름들과 마찬가지로 오름 가는 루트가 몇 개 되는 것 같았는데요, 제가 올라본 결과 오늘 소개하는 코스가 메인인 거 같았습니다. 일단 안덕면공설묘지를 치시고 근처에 오시면 오름 안내문이 보이고 거기서 쭉 들어가시면 위 사진에 보이는 오름 입구가 나옵니다. 오름 입구를 발견하시면 정상까지는 그렇게 힘들지 않게 오르실 수 있습니다. 대병악 정상까지는 위 입구 사진에서부터 약 20~30분이면 도달하고요, 소병악을 이어서 오르시더라도 전체 다해서 1시간 10분이면 일반인들은 등반을 마치실 수 있습니다. 일단 정상 풍경은 소병악보다 대병악이 훨씬 장관이고요, 이 오름들 주변에 다른 멋진 오름들도 많지만 산방산 일대를 가장 가깝고도 멋지게 조망할 수 있는 오름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비교적 오름 가는 길도 잘 정비되어 있어서 누구나 쉽게 오를 수 있는 것도 장점입니다. 대병악을 다시 내려와서 아래 사진 속 갈림길에서 소병악을 오르면 대병악보다는 조금 길이 거칠기는 합니다만, 이곳도 어렵지 않게 정상에 도달할 수 있습니다. 소병악은 정상 부근이 약간의 나무에 가려져 대병악보다는 확 트인 전망이 없지만 그래도 한라산 정상은 대병악보다 가깝게 보이는 게 장점입니다. 두 오름 모두 비교적 쉽게 오를 수 있는 오름이고 또 정상의 전망도 너무 멋진 오름인데도 불구하고, 아직까지는 유명세를 덜 타서 사람들이 많이 없다는 점도 좋았습니다.

 

 

큰길 입구에 있는 안내 표지판. 안덕면공설묘지를 찾아오시면 이 안내문이 보입니다.

 

 

 

오름 탐방 안내문.
오름 탐방 안내문.

 

 

 

중앙에 보이는 대병악과 좌측에 보이는 소병악 오름. 이제 쭉 들어가시면 등반로 입구가 나옵니다.
중앙에 보이는 대병악과 우측에 보이는 소병악 오름. 이제 쭉 들어가시면 등반로 입구가 나옵니다.

 

 

 

대병악, 소병악 오름 진입로 길. 날씨가 좋아 한라산 정상이 너무 멋지게 보이네요.
날씨가 좋아 한라산 정상이 너무 멋지게 보이네요.

 

 

 

드뎌 도착한 대병악, 소병악 오름 입구. 저 콘크리트 기둥이 꼭 신전기둥같이 보인다더니 실제보니 진짜 그렇게 보이네요^^
드뎌 도착한 대병악, 소병악 오름 등반로 입구. 저 콘크리트 기둥이 꼭 신전기둥같이 보인다더니 실제보니 진짜 그렇게 보이네요^^

 

 

 

기둥 사이로 봄이면 수국이 멋지게 핀다고 하니 참고하세요.
기둥 사이로 봄이면 수국이 멋지게 핀다고 하니 참고하세요.

 

 

 

등반로 길 위의 파란하늘
이날도 날씨가 너무 좋습니다.

 

 

 

입구 시작 지점에 있는 가축 이탈 방지문
입구 시작 지점에 있는 가축 이탈 방지문.

 

 

 

태양 아래 갈대가 너무 멋있습니다.
태양 아래 갈대가 너무 멋있습니다.

 

 

 

대병악, 소병악 갈림길 직전까지는 이렇게 평지가 계속 이어집니다.
대병악 소병악, 갈림길 직전까지는 이렇게 평지가 계속 이어집니다.

 

 

 

대병악과 소병악 갈림길. 이곳에서 왼쪽으로 돌아 올라가면 대병악이고, 쭉 직진하면 소병악이 나옵니다.
대병악과 소병악 갈림길. 이곳에서 왼쪽으로 돌아 올라가면 대병악이고, 쭉 직진하면 소병악이 나옵니다.

 

 

 

데크로 잘 정비된 대병악 오름길. 자 이제 시작이네요!
데크로 잘 정비된 대병악 오름길. 자 이제 시작이네요!

 

 

 

5분 정도 올랐는데도 벌써 소병악 정상 너머 한라산이 보이기 시작합니다.
5분 정도 올랐는데도 벌써 소병악 정상 너머 한라산이 보이기 시작합니다.

 

 

 

5분정도 더 오르니 정상 부근이네요.
5분정도 더 오르니 정상 부근이네요.

 

 

 

정상 능선 시작 지점에서 본 산방산.
정상 능선 시작 지점에서 본 산방산.

 

 

 

드뎌 도착한 대병악 정상.
드뎌 도착한 대병악 정상.

 

 

 

산방산이 바로 앞에 있는것 처럼 가까이 보이네요.
산방산이 바로 앞에 있는것 처럼 가까이 보이네요.

 

 

 

산방산 옆 저멀리 군산오름도 뚜렷이 보입니다.
산방산 옆 저멀리 군산오름도 뚜렷이 보입니다.

 

 

 

모슬봉과 서쪽 풍경.
모슬봉과 서쪽 풍경.

 

 

 

정상 벤치 너머 한라산의 모습.
정상 벤치 너머 한라산의 모습.

 

 

 

태양 아래 보이는 서귀포쪽 섶섬과 문섬의 모습.
태양 아래 보이는 서귀포쪽 섶섬과 문섬의 모습.

 

 

 

조금 당겨서 본 산방산 일대 모습.
조금 당겨서 본 산방산 일대 모습.

 

 

 

정상 부근의 안내판. 이곳으로 내려가시면 길이 매우 험하니. 모험심이 강하신 분들이 아니시라면 반드시 왔던곳으로 다시 내려가시기 바랍니다^^
정상 부근의 안내판. 이곳으로 내려가시면 길이 매우 험하니. 모험심이 강하신 분들이 아니시라면 반드시 왔던곳으로 다시 내려가시기 바랍니다^^

 

 

 

정상으로 올라오는 또 다른 길. 보기에도 길이 만만치 않습니다.
정상으로 올라오는 또 다른 길. 보기에도 길이 만만치 않습니다.

 

 

 

대병악, 소병악 갈림길
다시 갈림길로 내려왔습니다.

 

 

 

다시 갈림길에 오셔서 쭉 들어가시면 이제 소병악 오름길이 시작됩니다.
갈림길에 내려 오셔서 좌측으로 쭉 들어가시면 이제 소병악 오름길이 시작됩니다.
갈림길에 내려 오셔서 좌측으로 쭉 들어가시면 이제 소병악 오름길이 시작됩니다.

 

 

 

소병악오름 데크길.
소병악오름 데크길.

 

 

 

이곳도 오르기 어렵지는 않으나 대병악에 비해 길이 조금은 험한편입니다.
이곳도 오르기 어렵지는 않으나 대병악에 비해 길이 조금은 험한편입니다.

 

 

 

이곳도 10분 정도만 오르면 바로 정상이 나옵니다.
이곳도 10분 정도만 오르면 바로 정상이 나옵니다.

 

 

 

소병악오름 정상 초소. 그루터기 의자가 아주 예쁘네요^^
소병악오름 정상 초소. 그루터기 의자가 아주 예쁘네요^^

 

 

 

나무에 가려지긴 했지만 한라산 정상이 여기서도 잘 보입니다.
나무에 가려지긴 했지만 한라산 정상이 여기서도 잘 보입니다.

 

 

 

서귀포쪽 풍경.
서귀포쪽 풍경.

 

 

 

한림쪽 풍경.
한림쪽 풍경.

 

 

 

소병악 정상 초소옆의 그루터기 의자 쉼터.
소병악 정상 초소옆의 그루터기 의자 쉼터.

 

 

 

2. 무악 오름

대병악, 소병악을 오르고 난 후 시간이 좀 남아서 주변을 검색해보니 무악 오름이 바로 또 붙어있더군요. 두 병악 오름만큼 서로 마주 붙어 있지는 않지만 비교적 가까이 있어서 올라 봤습니다. 무악 오름은 대병악, 소병악에 비해 진입로도 찾기가 힘들고, 오름 등반로도 거의 정비되어 있지 않아서 조금 힘이 들었네요. 정상 부근의 전망도 나무들에 가려져 잘 보이지도 않았고요. 이곳은 이 주변 일대 오름을 올랐다는 성취감만 가져가야 하나 생각했는데 의외의 곳에서 따듯한 정을 느끼게 해 준 오름이었어요. 정상 부근 길을 몰라 수풀 사이에서 헤매다 산불감시원분을 만났는데요, 친절하게 정상 가는 길도 알려주시고 그 귀하다는 송홧가루가 들어간 토종 꿀차도 주셨습니다. 요 근래 날씨도 갑자기 추워졌는데 전혀 생각지도 못한 곳에서 따뜻한 차와 함께 정을 느끼게 해 준 그분께 정말 고맙다는 말씀 전하고 싶네요. 무엇보다 타 주신 꿀차가 내생에 최고의 꿀차였습니다. 혹시나 해서 이 글을 읽으시는 분들께 한 말씀드리자면, 무악 오름을 오르실 때는 함께 나눌 수 있는 약간의 다과를 지참하셔서 그 감시원분을 만나시면 같이 나누시길 바랍니다. 아마 그분도 귀한차를 대접해 주시고 또 주변 오름에 대한 자세한 안내도 해 주실 겁니다^^ 친절한 안내를 받아서 다시 오르기 시작했지만 길이 너무 험해서 제가 제대로 가고 있는지도 몰랐지만 한참을 지나다 보니 어느새 정상 부근에 도달해 있었습니다. 처음에도 언급했지만 무악 오름 정상 전망은 그다지 좋지 못합니다. 내려오는 길 나무 사이로 한라산 정상이 조금 보일 정도였어요. 어쨌듯 이렇게 두 병악오름 주변 무악 오름까지 알차게 등반한 하루였네요. 여러분들도 오름 좋아하시는 분들이라면 오늘 소개해 드린 오름 등반 꼭 한번 해 보시기 바랍니다.

무악오름 올라가는 입구.
무악오름 올라가는 입구.

 

 

 

나무가 너무 우거져서 조금 무섭기도 합니다. 실제가보시면 나무사이로 들어가는 길이 나 있습니다.
나무가 너무 우거져서 조금 무섭기도 합니다. 실제가보시면 나무사이로 들어가는 길이 나 있습니다.

 

 

 

들어가셔서 왼쪽으로 올려다 보면 이렇게 오름 올라가는 길이 보입니다.
들어가셔서 왼쪽으로 올려다 보면 이렇게 오름 올라가는 길이 보입니다.

 

 

 

처음나오는 갈림길. 오른쪽이 제가 올라온 길이고 왼쪽이 감시초소 가는길입니다. 실제정상 가는길은 오르시던데로 쭉 계속 가시면 나옵니다.
처음나오는 갈림길. 오른쪽이 제가 올라온 길이고 왼쪽이 감시초소 가는길입니다. 실제정상 가는길은 오르시던데로 쭉 계속 가시면 나옵니다.

 

 

 

대병악, 소병악에 비해서 길이 매우 험하니 조심히 오르셔야 합니다.
대병악, 소병악에 비해서 길이 매우 험하니 조심히 오르셔야 합니다.

 

 

 

오름길을 헤매다 만난 초소 감시원님. 정말 구세주가 따로 없었습니다^^
오름길을 헤매다 만난 초소 감시원님. 정말 구세주가 따로 없었습니다^^

 

 

 

제가 헤매다가 온 걸 아시고 꿀차를 대접해 주셨습니다. 전 드릴께 없어서 너무 죄송했어요ㅠㅠ
제가 헤매다가 온 걸 아시고 꿀차를 대접해 주셨습니다. 전 드릴께 없어서 너무 죄송했어요ㅠㅠ

 

 

 

감시초소간 연락을 위한 워키토키.
감시초소간 연락을 위한 워키토키.

 

 

 

이게바로 말로만 듣던 송화가루가 들어간 토종꿀 차 입니다. 정말 제가 태어나서 먹어 본 꿀차중에 최고였습니다.
이게바로 말로만 듣던 송화가루가 들어간 토종꿀차 입니다. 정말 제가 태어나서 먹어 본 꿀차중에 최고였습니다.

 

 

 

친절한 감시원분의 대접을 뒤로하고 알려주신대로 가보니 이곳도 얼마 지나지 않아서 정상 부근에 도달했네요.
친절한 감시원분의 대접을 뒤로하고 알려주신대로 가보니 이곳도 얼마 지나지 않아서 정상 부근에 도달했네요.

 

 

 

이곳은 정상 부근도 갈대등으로 길이 매우 험했습니다.
이곳은 정상 부근도 갈대등으로 길이 매우 험했습니다.

 

 

 

무악 정상에서 본 한라산 풍경.
무악 정상에서 본 한라산 풍경.

 

 

 

무악정상에서 본 대병악과 소병악. 역시나 확 트인 전망은 아니네요.
무악정상에서 본 대병악과 소병악. 역시나 확 트인 전망은 아니네요.

 

 

 

하산하면서 본 한라산의 모습. 나무 사이로 보이긴 하지만 대병악과 소병악보다는 훨씬 가깝게 보입니다.
하산하면서 본 한라산의 모습. 나무 사이로 보이긴 하지만 대병악과 소병악보다는 훨씬 가깝게 보입니다.

 

 

 

마지막으로 한라산을 남기며 하산했습니다.
마지막으로 한라산을 남기며 하산했습니다.

 

 

 

3. 찾아가는 길

1) 대병악, 소병악

주소 : 서귀포시 안덕면 상창리 1119 ※ 네비 검색 : 안덕면공설묘지 / 주소나 네비 검색 치시고 가신 후 아래 보이는 오름 안내문 있는 곳에서 쭉 들어가시면 등반 입구가 나옵니다.

 

 

 

대병악, 소병악  찾아가는 길

 

 

 

2) 무악오름

주소 : 서귀포시 안덕면 상천리 산 103 ※ 네비 검색 : 제주 무악 or 무악오름 / 주소나 네비 검색 치시고 가신 후 네비가 안내하는 끝가지 가지 마시고 반드시 아래 보이는 무악오름 입구에서 들어가셔야 됩니다. 실제 네비대로 가면 입구가 보이지 않습니다.